
ADHD, 약점이 아닌 잠재력의 원천으로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과거 ‘집중력 부족’ 혹은 ‘통제 불가’ 등의 부정적 특징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많은 유명인들이 이를 오히려 창의성과 에너지의 원천으로 삼아 자신의 분야에서 큰 성공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특히 주목할 만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ADHD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나누고자 합니다.
🏊 마이클 펠프스 (Michael Phelps)
9세 때 ADHD 진단을 받은 수영 황제 펠프스는 학교에서 가만히 앉아있는 것이 힘들었고 집중에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수영을 시작한 이후 ADHD 증상이 완화되었고, 세계 최고 올림픽 선수로 성장했습니다. 현재는 정신 건강과 ADHD에 대해 활발히 이야기하며 치료와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리처드 브랜슨 (Richard Branson)
버진 그룹의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 역시 중·고등 시절 학창생활이 힘들었지만, ADHD를 통해 얻은 도전 정신과 창의력을 사업에 적극 활용해 항공, 미디어, 우주여행 분야까지 진출한 억만장자가 되었습니다
🎬 짐 캐리 (Jim Carrey)
학교 시절 항상 장난꾸러기로 불리며 집중에 어려움을 겪었던 짐 캐리는, 성인이 된 이후 ADHD와 우울 증세를 인지한 후 코미디와 연기에 재능을 발휘하며 할리우드 전설이 되었습니다. 수많은 캐릭터가 ADHD 특유의 에너지와 전율을 반영한 것이라는 평가입니다
🧠 조이너 루카스 (Joyner Lucas)
미국 래퍼 조이너 루카스는 어린 시절 ADHD 진단을 받았고, 자신의 앨범 제목에 이를 그대로 사용하며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았습니다. 빠르게 떠오르는 음악가로, ADHD를 ‘내면의 목소리’로 해석하며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 제시카 맥케이브 (Jessica McCabe)
YouTube 채널 “How to ADHD”의 운영자로 잘 알려진 제시카는 12세에 ADHD 진단 후 Ritalin 복용과 심리 상담을 시작했고, 학업적으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유튜브, TEDx, 자서전 출간 등을 통해 ADHD 인식 개선과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레이븐 채프먼 (Raven Chapman)
프로 복싱 선수 채프먼은 ADHD 에너지를 권투와 드럼 연주에 집중시켜 정신 건강과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청소년 시절부터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ADHD 증상을 관리했으며, 현재는 프로 선수로서 세계 타이틀 진출을 목표로 활동 중입니다
🎤 자넷 데블린 (Janet Devlin)
아이리시 싱어송라이터 자넷은 X Factor 출연 이후 ADHD 진단을 받았고, 약물 치료 후 창작력과 집중력이 크게 향상되어 앨범을 대량으로 작곡하고 완성도 높은 작업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전보다 더 좋은 곡들이 나왔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 한국인의 사례 중심으로
🥔 이미소 대표 – 감자빵 사업 이끈 ‘미소 전도사’
춘천에서 감자 본연의 매력을 살린 감자빵 브랜드를 운영하며, 연매출 100억에서 200억 원 이상으로 성장시킨 이미소 대표는 본인이 성인 ADHD 진단을 받은 지
비로소 “내 생활이 ‘퍼즐 맞추기’ 같았다”고 말합니다.
ADHD가 갖는 과몰입력, 실행력, 창의성을 자산으로 삼아 디자인 대신 창업에 나섰고, 이를 통해 자신의 세계관을 실현하는 브랜드를 만들었죠.
브런치 인터뷰에선 “ADHD는 미래인류의 특징일 수 있다”고까지 표현하며, 스스로를 ‘미친몰입력과 미친상상력’을 가진 사람이라 정의합니다
✍️ 기안84 – 웹툰과 방송에서 솔직히 털어놓은 ADHD
한국 웹툰계 대표 작가이자 방송인인 **기안84(김희민 작가)**는 방송과 유튜브 채널에서 본인이 성인 ADHD와 불안장애를 경험했다고 공개했습니다.
MBC 예능 *‘나 혼자 산다’*와 유튜브 영상에서 그는 자신이 즉흥적이고 계획보다는 순간의 감정으로 행동하는 성향을 ADHD로 설명하며,
불안과 공황장애가 ADHD와 함께 오기도 한다고 털어놓았습니다
이후에도 다양한 인터뷰에서 ADHD에 대해 계속 언급하며, 대중에게 정신 건강 이슈를 보다 자연스럽게 전달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닝닝(aespa) & 🗣️ 비비 – 아이돌 스타의 ADHD 고백
에스파 멤버 닝닝과 가수 **비비(BIBI)**는 각각 자신이 *“ADHD 성향이 있다”*고 직접 밝힌 사례입니다.
닝닝은 인터뷰에서 “핸드폰 하나로 여러 일을 하다가도 집중이 잘 안 된다”고 고백했고,
비비도 유튜브 콘텐츠에서 ADHD 약을 항상 들고 다닌다고 밝혀 많은 이들의 공감을 이끌었습니다
이처럼 젊은 세대 셀러브리티들이 ADHD를 공개하면서 국내에서도
‘ADHD는 숨기거나 부끄러운 질환이 아니다’라는 인식 전환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배우 김지호 – 진단 이후 자신 돌아보기
배우 김지호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본인이 ADHD 증상을 겪고 있다고 밝히며,
어떤 역할이 들어와도 끝까지 해내지 못했던 이유가 지속력 부족 때문이었다고 했습니다.
“작품이 들어와도 도망가고 창피해서 속상했다”고 솔직히 털어놓으며,
지금은 ‘좀 못해도 괜찮다’는 배짱과 여유가 생겼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ADHD 진단이 단순한 진단을 넘어서 자기 이해와 성장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배울 점 요약
| 공통 특징 | 설명 |
| 창의성 & 몰입 | ADHD의 과잉 에너지와 초점이 집중되는 순간을 창의 작업, 스포츠, 예술 등에 집중하면 뛰어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 |
| 자기 이해 & 전략 개발 | 진단 이후 자신만의 관리 시스템(스케줄, 루틴, 치료 등) 활용으로 안정적인 상태 유지 가능. |
| 정신 건강 돌봄 | 치료‧상담‧약물 복용 등을 통해 ADHD의 부정적 측면은 감소시키고 긍정적 측면을 극대화함. |
| 사회적 인식 변화 | 공공 인물들이 ADHD를 인정하고 이야기함으로써 낙인 해체와 자존감 회복에 기여함. |
✍️ 마무리하며
ADHD는 결코 장애 그 자체가 아니라 나만의 속도로, 나만의 방식으로 살아갈 가능성의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소 대표처럼 자신의 열정 → 실행 → 비즈니스로 연결한 사람도 있고,
기안84처럼 어려움을 감추지 않고 공유하며 대중적 인식을 바꾼 이들도 있으며,
닌닝과 비비처럼 젊은 층에서도 솔직한 고백을 통해 ‘보편적 현실’로 만들고 있는 사례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진단이 아닌 그 이후의 태도입니다.
자기 이해로 시작해, 활용 전략을 세우고, 일상을 스스로 디자인하며 살 때,
ADHD는 단순한 어려움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의 고유한 장점으로 의미를 바꿀 수 있습니다.
✨놓치기 아까운 글 BEST 5
2025.07.20 - [분류 전체보기] - 초등학생 독서 습관 만들기 – 책 읽는 아이 만드는 법
초등학생 독서 습관 만들기 – 책 읽는 아이 만드는 법
초등학생 독서 습관 만들기 – 책 읽는 아이 만드는 법읽는 힘은 학습의 모든 기초입니다. 초등 시기에 독서 습관을 잡아주면 평생 공부 체질이 됩니다. ✅ 1. 책 읽는 환경부터 만들어주세요공
minkey.kr
2025.07.26 - [분류 전체보기] - 혹시 우리 아이가 아스퍼거? 걱정보다는 이해가 먼저
혹시 우리 아이가 아스퍼거? 걱정보다는 이해가 먼저
혹시 우리 아이가 아스퍼거? 걱정보다는 이해로 시작하세요 ✅ 어딘가 조금 다른 아이의 모습, 부모는 먼저 알아차립니다 우리 아이가 또래 아이들과 조금 다르다고 느낀 건, 유치원 발표회가
minkey.kr
2025.07.20 - [분류 전체보기] - 자존감이 낮은 내아이를 위한 부모의 전략 5가지
자존감이 낮은 내아이를 위한 부모의 전략 5가지
자존감 낮은 아이, 부모가 실천해야 할 5가지 전략 초등학생 자녀를 키우다 보면 “우리 아이가 왜 이렇게 자신감이 없을까?” 하고 걱정될 때가 많습니다. 실제로 많은 부모가 자존감 낮은 아이
minkey.kr
2025.07.20 - [분류 전체보기] - 자존감 낮은 초등 아이를 위한 부모의 5가지 실천 전략
자존감 낮은 초등 아이를 위한 부모의 5가지 실천 전략
자존감 낮은 초등 아이를 위한 부모의 5가지 실천 전략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작은 실패에도 크게 흔들립니다. 부모의 일관된 말과 태도는 아이 내면의 기준을 만들어줍니다. ✅ 1. 아이의 존재
minkey.kr
2025.07.24 - [분류 전체보기] - 내 아이가 혹시 ADHD일까?
내 아이가 혹시 ADHD일까?
혹시 내 아이가 ADHD일까? 부모가 알아야 할 신호와 대처법아이를 키우다 보면, 다른 아이들과 조금 다르다고 느끼는 순간이 있습니다. 특히 집중을 잘 못하거나, 충동적이고 산만한 행동이 반복
minke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