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등 부모 상담 준비 가이드 – 학교 상담 잘하는 법

by 나비컴 2025. 7. 22.
반응형

 

초등 부모 상담 준비 가이드 – 학교 상담 잘하는 법

상담은 문제 해결보다 관계 형성이 먼저입니다. 준비된 부모가 아이의 학교생활을 더 잘 지원할 수 있습니다.

 

✅ 1. '궁금한 점 리스트'를 미리 정리해두기

상담이 10~15분으로 짧기 때문에, 핵심 질문을 정리해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의 성향, 교우 관계, 수업 참여도 등 항목별로 정리해보세요. 

  • ✔ “수업 시간에 아이가 얼마나 참여하나요?”
  • ✔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는 어떤 편인가요?”
📝 질문은 3~5개로 구체적으로 정리해 가면 가장 효과적입니다.

 

✅ 2. 집에서 보이는 모습도 먼저 공유하기

1학기 상담은 선생님이 아이를 파악할 시간이 부족합니다. 한달이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이기에 먼저 내 아이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담임선생님의 입장에서는 아이를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아이에 대한 부모의 관심, 객관적인 시선을 갖고 있음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합니다. 학기 중 궁금한 것들은 스쿨톡이나 하이톡 등으로 소통을 이어가는 것도 좋습니다. 

“집에서는 안 그런데요”라는 말보다, 아이의 가정 내 특징을 먼저 말해주면 선생님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집에서는 혼자 노는 걸 좋아해요.”
  • ✔ “감정 표현이 서툴러서 걱정돼요.”

 

✅ 3. 비교나 추측 대신 '사실 중심' 대화

상담 중 “다른 아이들은 잘한다는데요” 같은 말은 방어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실 기반의 대화가 신뢰를 높입니다.

  • ✔ “○○이가 자주 혼자 있는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 ✔ “최근 학교 가기 싫다고 해서 이유가 궁금했어요.”

 

✅ 4. 문제 지적보다 '협력' 요청하기

상담은 문제를 해결하는 자리가 아니라, 함께 방향을 찾는 자리입니다.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말투가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듭니다.

  • ✔ “같이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 ✔ “학교에서 어떤 식으로 지도하시는지도 알고 싶어요.”
🤝 학교와 가정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인상을 주는 게 중요합니다.

 

✅ 5. 상담 후엔 아이에게 따뜻하게 피드백

상담 후 아이에게 “오늘 너 얘기 들었어”라고 하면 감시받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말로 마무리하세요.

  • ✔ “선생님이 네가 수업 잘 듣는다고 하셨어.”
  • ✔ “친구랑 잘 지내려고 노력하는 거 멋지대.”

 

📌 결론: 상담은 부모의 '존중과 관심'이 드러나는 시간입니다

상담을 잘 준비하고 진심으로 소통하면, 아이를 둘러싼 어른들이 더 좋은 팀이 되어 줄 수 있습니다. 작은 질문 하나, 따뜻한 공감 한 마디가 아이의 학교생활을 바꿀 수 있습니다. 모든 선생님이 모든 학부모와 아이에게 좋은 선생님이 될수는 없지만 선생님은 아이에게 마땅히 존경받아야 할 존재임을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선생님을 존중하고 공경하는 태도를 가진 아이는 선생님께 존중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사와 부모가 연결되면, 아이는 안정감을 얻고 더 성장합니다.”

 

© 2025 민키교육연구소. 초등교육 실천정보 콘텐츠입니다.

반응형